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방대학이 혁신하기 위해선 중앙정부의 행정·재정권한을 각 지방자치단체에 과감히 위임해야 한다고 했다.
이 장관은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TV조선 '글로벌리더스포럼 2022'에 강연자로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지역대학은 기본적으로 자율성 속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며, 지역의 필요에 따라 지자체와 협력하여 발전해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장관은 이를 위해 대학에 대한 중앙정부의 규제를 '제로화'하고, 현재 포지티브(positive) 방식인 규제를 전면 네거티브(negative)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교육부가 가진 대학 관련 예산과 특성화 전략 수립 등 권한을 지자체에 넘겨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발전계획을 설계하고 중앙정부에 제안하고, 중앙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 장관은 또 AI 등 진보된 에듀테크 활용을 통한 학생별 맞춤형 교육을 주장했다. 이를 가능하도록 만든게 '디지털 기술'이라고 밝힌 그는 "향후 교사들은 학생들의 사회·정서적인 역량을 키워주거나 인성을 교육하고, 멘토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교육부 정책이 앞으론 '수업의 변화'에 맞춰져야 하고, 좋은 수업을 만드는 교사에게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환경을 만들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이어 "자사고, 외고, 특목고 등 이슈가 있지만 일반 공립학교도 학교의 자율이 살아나야 교육의 대전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율성'을 강조했다.
이 장관은 그동안 교육부 방침으로 제시됐던 반도체·디지털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과 유보통합 및 방과후 돌봄 등 국가교육책임제 강화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강조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방대학이 혁신하기 위해선 중앙정부의 행정·재정권한을 각 지방자치단체에 과감히 위임해야 한다고 했다.
이 장관은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TV조선 '글로벌리더스포럼 2022'에 강연자로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지역대학은 기본적으로 자율성 속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며, 지역의 필요에 따라 지자체와 협력하여 발전해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장관은 이를 위해 대학에 대한 중앙정부의 규제를 '제로화'하고, 현재 포지티브(positive) 방식인 규제를 전면 네거티브(negative)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교육부가 가진 대학 관련 예산과 특성화 전략 수립 등 권한을 지자체에 넘겨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발전계획을 설계하고 중앙정부에 제안하고, 중앙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교육부 정책이 앞으론 '수업의 변화'에 맞춰져야 하고, 좋은 수업을 만드는 교사에게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환경을 만들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이어 "자사고, 외고, 특목고 등 이슈가 있지만 일반 공립학교도 학교의 자율이 살아나야 교육의 대전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율성'을 강조했다.
이 장관은 그동안 교육부 방침으로 제시됐던 반도체·디지털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과 유보통합 및 방과후 돌봄 등 국가교육책임제 강화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