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개요

| 행사 개요

제 9회

TV 조선 10년, 
광복 100년 대한민국을 설계하다!

일정 : 2021년 11월 22일 (월) - 11월 23일 (화)

장소 : 그랜드 워커힐 호텔 비스타홀



| 프로그램 일정

프로그램 일정

시간

프로그램

내용

8:00

개회

개회사 및 축사

개회사           홍두표 |  TV CHOSUN 회장

                      이주호 |  K-정책플랫폼 이사장

축사               마리아 레사 |  2021 노벨 평화상 수상자 

                     김형석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8:00 - 8:45

개회사 및 축사


개회사
홍두표  
TV CHOSUN 회장

이주호  K-정책플랫폼 이사장
축사
마리아 레사 
 2021 노벨평화상 수상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8:45

기조연설

로렌스 서머스 |  前 미국 재무장관 · 前 미국 하버드대학교 총장 


9:10

세션 1

美-中 대립 속 대한민국의 항로

대담               전광우 |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 前 금융위원장 

좌장               박태호 |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엔리코 레타 |  前 이탈리아 총리

                      왕 훼야오 |  중국세계화센터(CCG) 회장

                      채드 P. 본 |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원

                      신각수 | 前 외교통상부 차관


9:50

 

제20대 대통령 후보 국가 정책 발표회 


10:20

서브 세션

혁신생태계의 시스템적 재구성

좌장               한민구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패널               안준모 |  고려대학교 교수

                      박병원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문해주 |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사무총장 

                      마창환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부회장  

                      이경전 |  경희대학교 교수 

                      김소영 |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경재 |  KISTEP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


11:00

특별 세션

102세 국가원로, 대한민국 100년을 말하다!

김형석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12:00

 

점심 식사


14:00

세션 2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좌장               유일호 |  前 부총리 아주대학교 총장

기조연설        마리아 레사 |  2021 노벨평화상 수상자 

패널               피터 A. 홀 |  하버드대학교 교수 

                      폴 콜리어 |  옥스퍼드대 행정대학원 교수
                      베라 송웨 | UN 사무차장
                      도미니끄 므와지 |
프랑스 몽테뉴연구소 선임고문
                      모한 쿠마르 | 
인도 개도국연구원(RIS) 대표
                      이정훈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


 

서브 세션

한국의 세계무역질서 참여전략

좌장               박태호 |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이재민 |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석영 |  前 주 제네바 대사

                      왕윤종 |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정인교 |  인하대학교 교수

                      허윤 |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14:40

 

Coffee Break


15:30

세션 3

대한민국의 엔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라

좌장             김명자 |  前 환경부 장관

패널             로버트 앳킨슨 |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

                    분훙 응 |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 CEO

                    프랭크 토마스 필러 |  독일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공과대학 교수

                    카즈유키 모토하시 |  일본 동경대학교 교수

                    빔 반하버베케 |  벨기에 앤트워프대학교 교수

                    안준모 |  고려대학교 교수



8:45 - 9:10

기조연설


TV조선 10년, 광복 100년 대한민국을 건설하다!

로렌스서머스  前 미국 재무장관, 前 미국 하버드대 총장


9:10 - 10:20

[세션1] 美-中 대립 속 대한민국의 항로 


로렌스 서머스와의 대담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 前 금융위원장


좌장
박태호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엔리코 레타  前 이탈리아 총리
왕 훼야오 중국세계화센터(CCG) 회장
채드 P.  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원
신각수  前 외교통상부 차관 


10:20 - 12:00

[서브세션1] 혁신생태계의 시스템적 재구성 



9:50 - 11:00

제 20대 대통령 후보 국가정책 발표회

좌장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패널
안준모  고려대 교수
박병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문해주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사무총장
마창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부회장
이경전  경희대 교수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경재  KISTEP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 


11:00 - 12:00

[특별세션]
102 국가원로, 대한민국 100년을 말하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12:00 - 14:00

점심 시간


14:00 - 15:20

[세션2]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좌장

유일호  前 부총리


기조연설

마리아레사  2021 노벨평화상 수상자


패널
피터 A.홀  하버드대 교수

폴 콜리어  옥스퍼드대 행정대학원 교수

베라 송웨  UN 사무차장
도미니끄 므와지  
프랑스 몽테뉴연구소 선임고문
모한 쿠마르  
인도 개도국연구원(RIS) 대표
이정훈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원장 


[서브세션] 한국의 세계무역질서 참여전략


좌장

박태호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석영  前 주 제네바 대사
왕윤종  
동덕여대 교수
정인교  
인하대 교수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원장  


15:30 - 17:00

[세션3]

대한민국의 엔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라


좌장

김명자  前 환경부 장관


패널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 회장

분훙 응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 CEO

프랭크 토마스 필러  독일라인베스트팔렌아헨공대 교수

카즈유키 모토하시  일본 동경대 교수

빔 반하버베케  벨기에 앤프워프대 교수

안준모  고려대 교수


17:00 -

[특별강연] 켈리 최, 청년과의 대화


켈리 최  켈리델리 회장

세션1) 美-中 대립 속 대한민국의 항로 


미국과 중국의 대립은 글로벌 정치와 경제의 지각판을 움직이고 밸류 체인의 전환을 촉진시키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글로벌 동맹의 블록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고, 경제적으로는 COVID-19 백신, 반도체, 배터리뿐 아니라 소비재의 글로벌 공급망까지 변화시킨다. 난마처럼 얽힌 미-중 패권전쟁 속에서, 대한민국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세계적인 지도자와 학자 및 정책 입안자들을 초청해 앞으로의 대한민국 미래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서브세션) 한국의 세계무역질서 참여전략 


최근 국제무역과 관련해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자유무역과 세계화에 대해 일반 시민들의 부정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 둘째는 중국정부의 산업보조금이 과잉생산 및 설비를 유발해 세계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왜곡시키고 있다. 미국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첨단기술 제품의 중국으로의 수출을 규제하고 있다. 셋째는 주요국들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 첨단기술 제품과 관련된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구축하려는 것이며, 넷째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강화와 디지털무역의 확대이다. 이러한 국제무역관련 흐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관련된 여러 이슈들을 관할하고 통제할 수 있는 투명하고 공정한 다자규범이 없다는 것이다. 이제 곧 세계무역기구(WTO)의 ‘제12차 통상장관회의(MC12)’가 제네바에서 개최된다. 그러나 통상전문가들은 이번 통상장관회의에서도 별다른 성과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당분간 WTO 중심의 다자무역체제를 통해 세계통상환경이 개선될 여지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세계무역질서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WTO 체제는 어떻게 될 것인지, 다자무역질서를 재건하기 위한 미국, EU, 중국, 중견국가 등 주요국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지역무역협정과 복수국가협정이 다자무역체제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 미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구축이 지속될 수 있는지, 중국의 산업보조금 정책은 정당한 것인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다자무역체제와 충동할 여지는 없는지 등 다양한 국제통상 이슈들에 대해 논의하고 미래 세계무역질서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