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개요

| 행사 개요

제 9회

TV 조선 10년, 
광복 100년 대한민국을 설계하다!

일정 : 2021년 11월 22일 (월) - 11월 23일 (화)

장소 : 그랜드 워커힐 호텔 비스타홀



| 프로그램 일정

프로그램 일정

시간

프로그램

내용

8:00

개회

개회사 및 축사

개회사           홍두표 |  TV CHOSUN 회장

                      이주호 |  K-정책플랫폼 이사장

축사               마리아 레사 |  2021 노벨 평화상 수상자 

                     김형석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8:00 - 8:45

개회사 및 축사


개회사
홍두표  
TV CHOSUN 회장

이주호  K-정책플랫폼 이사장
축사
마리아 레사 
 2021 노벨평화상 수상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8:45

기조연설

로렌스 서머스 |  前 미국 재무장관 · 前 미국 하버드대학교 총장 


9:10

세션 1

美-中 대립 속 대한민국의 항로

대담               전광우 |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 前 금융위원장 

좌장               박태호 |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엔리코 레타 |  前 이탈리아 총리

                      왕 훼야오 |  중국세계화센터(CCG) 회장

                      채드 P. 본 |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원

                      신각수 | 前 외교통상부 차관


9:50

 

제20대 대통령 후보 국가 정책 발표회 


10:20

서브 세션

혁신생태계의 시스템적 재구성

좌장               한민구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패널               안준모 |  고려대학교 교수

                      박병원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문해주 |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사무총장 

                      마창환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부회장  

                      이경전 |  경희대학교 교수 

                      김소영 |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경재 |  KISTEP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


11:00

특별 세션

102세 국가원로, 대한민국 100년을 말하다!

김형석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12:00

 

점심 식사


14:00

세션 2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좌장               유일호 |  前 부총리 아주대학교 총장

기조연설        마리아 레사 |  2021 노벨평화상 수상자 

패널               피터 A. 홀 |  하버드대학교 교수 

                      폴 콜리어 |  옥스퍼드대 행정대학원 교수
                      베라 송웨 | UN 사무차장
                      도미니끄 므와지 |
프랑스 몽테뉴연구소 선임고문
                      모한 쿠마르 | 
인도 개도국연구원(RIS) 대표
                      이정훈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


 

서브 세션

한국의 세계무역질서 참여전략

좌장               박태호 |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이재민 |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석영 |  前 주 제네바 대사

                      왕윤종 |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정인교 |  인하대학교 교수

                      허윤 |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14:40

 

Coffee Break


15:30

세션 3

대한민국의 엔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라

좌장             김명자 |  前 환경부 장관

패널             로버트 앳킨슨 |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

                    분훙 응 |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 CEO

                    프랭크 토마스 필러 |  독일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공과대학 교수

                    카즈유키 모토하시 |  일본 동경대학교 교수

                    빔 반하버베케 |  벨기에 앤트워프대학교 교수

                    안준모 |  고려대학교 교수



8:45 - 9:10

기조연설


TV조선 10년, 광복 100년 대한민국을 건설하다!

로렌스서머스  前 미국 재무장관, 前 미국 하버드대 총장


9:10 - 10:20

[세션1] 美-中 대립 속 대한민국의 항로 


로렌스 서머스와의 대담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 前 금융위원장


좌장
박태호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엔리코 레타  前 이탈리아 총리
왕 훼야오 중국세계화센터(CCG) 회장
채드 P.  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원
신각수  前 외교통상부 차관 


10:20 - 12:00

[서브세션1] 혁신생태계의 시스템적 재구성 


좌장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패널
안준모  고려대 교수
박병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문해주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사무총장
마창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부회장
이경전  경희대 교수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경재  KISTEP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 


9:50 - 11:00

제 20대 대통령 후보 국가정책 발표회


11:00 - 12:00

[특별세션]
102 국가원로, 대한민국 100년을 말하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12:00 - 14:00

점심 시간


14:00 - 15:20

[세션2]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좌장

유일호  前 부총리


기조연설

마리아레사  2021 노벨평화상 수상자


패널
피터 A.홀  하버드대 교수

폴 콜리어  옥스퍼드대 행정대학원 교수

베라 송웨  UN 사무차장
도미니끄 므와지  
프랑스 몽테뉴연구소 선임고문
모한 쿠마르  
인도 개도국연구원(RIS) 대표
이정훈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원장 


[서브세션] 한국의 세계무역질서 참여전략


좌장

박태호  前 통상교섭본부장


패널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석영  前 주 제네바 대사
왕윤종  
동덕여대 교수
정인교  
인하대 교수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원장  


15:30 - 17:00

[세션3]

대한민국의 엔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라


좌장

김명자  前 환경부 장관


패널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 회장

분훙 응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 CEO

프랭크 토마스 필러  독일라인베스트팔렌아헨공대 교수

카즈유키 모토하시  일본 동경대 교수

빔 반하버베케  벨기에 앤프워프대 교수

안준모  고려대 교수


17:00 -

[특별강연] 켈리 최, 청년과의 대화


켈리 최  켈리델리 회장

세션5) 플랫폼 경제 시대, 일자리의 미래  


혁신과 신기술은 디지털 변혁과 자동화를 가속화해 기존의 직업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직업과 새로운 형태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이 새로운 작업 환경은 전반적으로 근로자의 재숙련 및 기술 향상을 필요로 하며 저숙련, 비숙련 및 취약자에게 가혹할 수도 있다. 고도로 숙련된 사람들은 더 많은 더 나은 혜택을 받는 반면 취약한 사람들은 불평등과 소득 격차 확대의 정면승부를 하고 있다. COVID-19 대유행은 이러한 추세에 박차를 가하여 사회적 결속과 안정성을 약화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재교육 및 숙련도 향상을 포함하여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적절한 사회 복지가 요구되고 있다. 정부만으로는 일자리와 사회 복지 조정을 해결할 수 없다. 노동 및 고용주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이는 관계 법령의 제, 개정을 위한 입법부의 개입이 불가피하다. 성공적인 노동 개혁에는 독일 하르츠 법안의 경우와 같이 적절한 사회복지의 변화가 필요하다. 세계적 리더와 기업인, 철학자들과 함께 변화의 방향을 모색해본다.



서브세션) 복지•재정 개혁 라운드테이블   


디지털 기술의 확산은 거래비용을 줄여 공격적 외주화와 플랫폼 경제화를 가능하게 해 고용의 외부화를 늘이고, 생산과정의 기계화는 전통적 일자리의 축소와 함께 직무의 내용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코로나 19의 대유행은 디지털경제화를 촉진하고, 자영업 등 취약계층의 문제를 드러냈다. 대전환기에 고용과 사회보장은 어떠해야 하는가? 어떻게 국민경제의 경쟁력을 키우며 고용-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낼 것인가? 이런 변화 속에서 당사자인 노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가? 경제성장과 복지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국가로부터 우리가 배울 점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