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개요

| 행사 개요

제 9회

TV 조선 10년, 
광복 100년 대한민국을 설계하다!

일정 : 2021년 11월 22일 (월) - 11월 23일 (화)

장소 : 그랜드 워커힐 호텔 비스타홀



| 프로그램 일정

프로그램 일정

시간

프로그램

내용

9:00 - 9:30

기조 연설


줄리아 길라드  前 호주 총리
(이주호 K-정책플랫폼 이사장 · 줄리아 길라드 前 총리 대담)
반기문  제8대 UN 사무총장
오세훈  서울시장


8:45

기조연설

줄리아 길라드 |  前 호주 총리

반기문 |  제8대 UN 사무총장

오세훈 |  서울 시장


9:30

세션 4

기후변화시대,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2045 

좌장               김은미 |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패널               네보자 나키케노비치 |  베조스 어스 펀드(BEF) 대표 

                      앤드류 스티어 |  베조스 어스 펀드(BEF) 대표 

                      쇼바카르 다칼 | 태국 아시아공과대학(AIT) 부총장 

                      제롬 포스터 II | 미국 백악관 환경 자문위원 

                      정태용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엄우종 | 아시아개발은행(ADB) 사무총장


10:50

특별 세션

대한민국 백년의 비전과 대학의 역할

좌장               김도연 |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패널               오세정 |  서울대학교 총장

                      신동렬 |  성균관대학교 총장

                      박형주 |  아주대학교 총장

                      김은미 |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우동기 |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김진형 |  인천재능대학교 총장


  

서브 세션

에너지 전략에 대한 한국전문가 라운드테이블

좌장               강성진 |  고려대학교 교수 

패널               김용건 |  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남석우 |  KIST 책임연구원  

                      정선진 |  한전 KPS 차장

                      최효정 |  강원대학교 학생


12:10

 

점심 식사


13:30

세션 5

미래 교육, 하이터치 하이테크

좌장               정구현 |  前 삼성경제연구소장 

패널               요세프 리천 | 前 네덜란드 교육문화과학부 장관

                      응우옌 꾸이 탄 |  베트남국립하노이대학교(VNU) 교육대학장 

                      마리아 스피스 |  홀론아이큐 CEO
                      아비 바르샤브스키 | 마인드셋 CEO
                      이주호 |
前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나성섭 | 
아시아교육협회(ECA) 교육 국장
                      신소희 | 
아시아교육협회(ECA) 대표


 

서브 세션

주한 대사 라운드테이블

좌장               송경진 |  혁신경제 사무총장 

패널               캐서린 레이퍼 |  호주 대사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  EU 대사

                      브루노 피게로아 |  멕시코 대사, 주한 중남미 외교단장

                      람지 테이무로프 |  아제르바이잔 대사

                      므웬데 므윈지 |  케냐 대사

                      바드르 모하마드 알아외디 |  쿠와이트 대사


14:50

세션 6

플랫폼 경제 시대, 일자리의 미래 

좌장             김대환 |  前 노동부 장관

대담             에스코 아호 |  前 핀란드 총리

                    대니얼 하머메시 |  미국 바너드대학교 석좌 교수

패널             김태기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정흥준 |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 CEO

                    김영기 |  前 대한산업안전협회 회장 

                    최영기 |  前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지순 |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원장 


14:40

 

Coffee Break


16:20

글로벌 싱크탱크 세션

스마트 파워 대한민국, 글로벌 리더로!  

좌장             이주호 |  K-정책플랫폼 이사장 

대담             낸시 버드샐 |  세계개발센터 창립 회장

패널             호미 카라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랜달 존스 |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 CEO

                    아니세토 오르베타 |  前 대한산업안전협회 회장 

                    로버트 앳킨슨 |  前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고든 플레이크 |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원장

                    박진 |  KDI 교수 


 

서브 세션

복지·재정 개혁 라운드 테이블

좌장             우천식 |  KDI 초빙연구위원 

대담             허재준 |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양재진 |  연세대학교 교수

                    박형수 | 前 통계청 청장 

패널             김영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전병목 |  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병유 |  한신대학교 교수



9:30 - 10:50

[세션4] 

기후변화시대,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2045


좌장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


패널
네보자 나키케노비치  EU 집행위원회 수석 과학자
앤드류 스티어 베조스  어스 펀드(BEF) 대표
쇼바카르 다칼  태국 아시아공과대학(AIT) 부총장
제롬 포스터 II  미국 백악관 환경 자문위원
정태용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엄우종  아시아개발은행(ADB) 사무총장


10:50 - 12:10 

[특별세션] 

대한민국 백년의 비전과 대학의 역할


좌장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패널
안준모  고려대 교수
박병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문해주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사무총장
마창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부회장
이경전  경희대 교수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경재   KISTEP 혁신전략연구소 정책위원 


12:10 - 13:30

점심 식사


13:30 - 14:50 

[세션5] 미래 교육, 하이터치 하이테크


좌장

정구헌  前 삼성경제연구소장 


패널
요세프 리천  前 네덜란드 교육문화과학부 장관
응우옌 꾸이 탄  베트남국립하노이대(VNU) 교육대학장
마리아 스피스  홀론아이큐 CEO
아비 바르샤브스키  마인드셋 CEO
이주호  前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나성섭  아시아개발은행(ADB) 교육 국장
신소희  아시아교육협회(ECA) 대표 


[서브세션] 주한 대사 라운드테이블


좌장

송경진  혁신경제 사무총장


패널
캐서린 레이퍼  호주 대사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EU 대사
브루노 피게로아  
멕시코 대사, 주한 중남미 외교단장
람지 테이무로프  
아제르바이잔 대사
므웬데 므윈지
  케냐 대사
바드르 모하마드 알아와디  
쿠웨이트 대사 


14:50 - 16:10

[세션6] 플랫폼 경제 시대, 일자리의 미래


좌장

김대환  前 노동부 장관


대담

에스코 아호 前 핀란드 총리
대니얼 하머메시  미국 바너드대 석좌교수


패널
김태기  단국대 교수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김영기  前 대한산업안전협회 회장
최영기  前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지순  고려대 노동대학원 원장


16:10 - 16:20

Coffee Break


16:20 -

[글로벌 싱크탱크 세션] 

스마트 파워 대한민국, 글로벌 리더로!


좌장

이주호  K-정책플랫폼 이사장


대담 및 패널

낸시 버드샐  세계개발센터 창립 회장


패널
호미 카라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시니어펠로우
랜달 존스  前 OECD 한국경제담당관
아니세토 오르베타  필리핀개발연구소(PIDS) 대표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
고든 플레이크  호주 퍼스 미국·아시아센터 대표
박진  KDI 교수 


[서브세션] 복지·재정개혁 라운드테이블 


좌장

우천식  KDI 초빙연구위원


발제

허재준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양재진 연세대 교수
박형수  前 통계청 청장


패널
김영순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전병목  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병유  한신대 교수 


세션1) 美-中 대립 속 대한민국의 항로 


미국과 중국의 대립은 글로벌 정치와 경제의 지각판을 움직이고 밸류 체인의 전환을 촉진시키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글로벌 동맹의 블록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고, 경제적으로는 COVID-19 백신, 반도체, 배터리뿐 아니라 소비재의 글로벌 공급망까지 변화시킨다. 난마처럼 얽힌 미-중 패권전쟁 속에서, 대한민국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세계적인 지도자와 학자 및 정책 입안자들을 초청해 앞으로의 대한민국 미래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서브세션) 한국의 세계무역질서 참여전략 


최근 국제무역과 관련해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자유무역과 세계화에 대해 일반 시민들의 부정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 둘째는 중국정부의 산업보조금이 과잉생산 및 설비를 유발해 세계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왜곡시키고 있다. 미국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첨단기술 제품의 중국으로의 수출을 규제하고 있다. 셋째는 주요국들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 첨단기술 제품과 관련된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구축하려는 것이며, 넷째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강화와 디지털무역의 확대이다. 이러한 국제무역관련 흐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관련된 여러 이슈들을 관할하고 통제할 수 있는 투명하고 공정한 다자규범이 없다는 것이다. 이제 곧 세계무역기구(WTO)의 ‘제12차 통상장관회의(MC12)’가 제네바에서 개최된다. 그러나 통상전문가들은 이번 통상장관회의에서도 별다른 성과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당분간 WTO 중심의 다자무역체제를 통해 세계통상환경이 개선될 여지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세계무역질서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WTO 체제는 어떻게 될 것인지, 다자무역질서를 재건하기 위한 미국, EU, 중국, 중견국가 등 주요국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지역무역협정과 복수국가협정이 다자무역체제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 미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구축이 지속될 수 있는지, 중국의 산업보조금 정책은 정당한 것인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다자무역체제와 충동할 여지는 없는지 등 다양한 국제통상 이슈들에 대해 논의하고 미래 세계무역질서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