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일정

| 행사 개요

| 개요

제 11회

민주주의, 디지털 권리장전을 선포하라!
: 인간과 기술 그리고 민주주의

  일정 : 2023년 11월 20일 (월) - 11월 21일 (화)

  장소 : 워커힐호텔 서울 (비스타홀, 그랜드홀)

제 11회

민주주의, 디지털 권리장전을 선포하라!

: 인간과 기술 그리고 민주주의

일정 : 2023년 11월 20일 (월) - 11월 21일 (화)
장소 : 워커힐호텔 서울 (비스타홀, 그랜드홀)



| 프로그램 일정

프로그램 일정

시간

프로그램

내용

9:30 ~ 9:40

개막식

오프닝

개회사 및 축사


9:40 ~ 10:20

기조연설

당신이 모르는 민주주의

마이클 샌델 |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 美 하버드대 교수 

9:30 - 9:40

개막식


오프닝

개회사 및 축사



10:20 ~ 12:10

세션 1 

글로벌 지정학의 변화

조지프 나이 |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학장, 前 미 국방부 국제안보 담당 차관보

로버트 로스 | 美 보스턴대 교수, 美 하버드대 중국 문제 연구원

스티븐 로치 | 前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

우총한 | 대만 국립정치대 학장

김숙 | 반기문재단 상임이사, 前 UN대사

이정훈 |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원장

<좌장>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前 금융위원장


14:00 ~ 15:50

세션 2

AI와 인간, 철학의 과제는?

카리사 벨리즈 | 英 옥스퍼드대 AI 윤리연구소 교수

마르쿠스 가브리엘 | 독일 본대학 교수

발터 샤이델 | 美 스탠퍼드대 교수

조지 첸 | 홍콩대 테크포굿 공동센터장

이동만 | KAIST 교학부총장

최병일 |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박대성 | 로블록스 아시아 정책 대표

<좌장> 이은수 | 서울대 철학과 교수


16:00 ~ 17:50

세션 3

인간이 살 수 없는 지구 ··· "기후 붕괴 시작됐다"  

짐 스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 의장

페테리 탈라스 | 세계기상기구(WMO) 사무총장

수잔네 디틀레우센 | 덴마크 왕립 과학 아카데미 부학장,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나빌 무니르 |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부속 이행기구(SBI) 의장, 주한 파키스탄 대사

세파스티아노 파텔리시오 | 기후변화와 싸우는 태평양 섬나라 학생들 (PISFCC) 부대표

김호 | 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좌장> 정태용 |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15:00 ~ 17:00

 

서브 세션

미래 소모 시대: 부채에 중독된 한국

원숙연 | K정책플랫폼 거버넌스위원장, 이화여대 교수

안준모 | K정책플랫폼 과학기술위원장, 고려대 교수

김용하 | K정책플랫폼 재정복지위원장, 순천향대 교수

박영석 | K정책플랫폼 ESG위원장, 서강대 교수

유연철 | K정책플랫폼 에너지·기후변화 위원,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이채린 | 클라썸 대표, 국민통합위원회 위원

<좌장> 정태용 | K정책플랫폼 공동원장,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좌장> 박   진 | K정책플랫폼 공동원장,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세션2) AI와 인간, 철학의 과제는?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인간을 시대 전환 시기에서 한 시대를 완전히 졸업하지 못하고 과거의 잔재를 흡수하여 진화하는 키메라로 그려냈다. 그는 인간이 여전히 구석기시대의 감정을 가지며, 중세의 제도를 이어받은 신처럼 뛰어난 기술을 활용할 줄 아는 존재로 묘사했다. 인공지능을 필두로 한 디지털 기술이 급속한 발전 및 풍요와 더불어 수많은 빈곤을 낳고 있는 것은 윌슨의 지적대로 아직 우리가 기술의 발전과 인간다움의 고유한 가치 사이의 균형점을 찾지 못한 까닭이다.

본 세션은 기술의 발전이 과거 인간 사회의 다양한 층위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관계 맺어져 왔고, 현재 어떤 결과들을 낳고 있으며, 미래 어떤 방식으로 새롭게 방향을 설정해야 할지 논의한다. 또한, 수많은 기술의 발전 속에서도 지키고자 했던 인간다움의 본질, 인간중심의 기술이 갖추어야 할 요건, 기술 발전과 인간다움의 가치 사이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인문학적 해법 등에 대해 다학제적 접근을 바탕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세션에서는 국내외 저명한 경제석학과 전문가들이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가 당면한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9:40 - 10:20

[기조연설] 

당신이 모르는 민주주의


마이클 샌델 |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

                         美 하버드대 교수


10:20 - 12:10

[세션1] 

글로벌 지정학의 변화


조지프 나이 | 美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학장, 

                       前 미 국방부 국제안보 담당 차관보

로버트 로스 | 美 보스턴대 교수, 

                       美 하버드대 중국 문제 연구원

스티븐 로치 | 前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

우총한 | 대만 국립정치대 학장

김  숙 | 반기문재단 상임이사, 前 UN대사

이정훈 |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원장 

<좌장> 전광우 |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前 금융위원장


14:00 - 15:50

[세션2] 

AI와 인간, 철학의 과제는?


카리사 벨리즈 | 英 옥스퍼드대 AI 윤리연구소 교수

마르쿠스 가브리엘 | 독일 본대학 교수

발터 샤이델 | 美 스탠퍼드대 교수

조지 첸 | 홍콩대 테크포굿 공동센터장

이동만 | KAIST 교학부총장

최병일 |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박대성 | 로블록스 아시아 정책 대표

<좌장> 이은수 | 서울대 철학과 교수


16:00 - 17:50

[세션3] 

인간이 살 수 없는 지구 ···

"기후 붕괴 시작됐다"


짐 스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 의장페테리 탈라스 | 세계기상기구(WMO) 사무총장

수잔네 디틀레우센 |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덴마크 왕립 과학 아카데미 부학장

나빌 무니르 |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부속 

이행기구(SBI) 의장, 주한 파키스탄 대사 

세파스티아노 파텔리시오 | 기후변화와 싸우는 태평양

섬 학생들 (PISFCC) 부대표

김  호 | 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좌장> 정태용 |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15:00 - 17:00

[서브세션] 

미래 소모 시대: 부채에 중독된 한국 


원숙연 | K정책플랫폼 거버넌스위원장, 이화여대 교수

안준모 | K정책플랫폼 과학기술위원장, 고려대 교수

김용하 | K정책플랫폼 재정복지위원장, 순천향대 교수

박영석 | K정책플랫폼 ESG위원장, 서강대 교수

유연철 | K정책플랫폼 에너지·기후변화 위원,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이채린 | 클라썸 대표, 국민통합위원회 위원

<좌장> 정태용 | K정책플랫폼 공동원장, 연세대 교수

<좌장> 박  진 | K정책플랫폼 공동원장, KDI 교수